전체 글
-
삼지구엽초[음양곽]야생화/야생화 2007. 12. 14. 14:59
설악산 용아장성을 등반할 때 바위 틈에 조그만 풀을 설악산 구조대원이 잎을 하나 따서 나에게 주면서 씹어 보라고 한다. 입에 넣고 씹엇더니 쌉싸름한 것이 맛을 별로 없는 것 같다. 구조대원 왈 '이것이 삼지구엽초입니다 " 한다. 이 바위 곳곳에 자라고 있는 것을 심심찮게 볼 수 있으며 산양이 이것을 뜯어 먹고 자란다고 한다.. 내가 들은 바로는 양이 이 풀을 뜯어 먹고 밤새도록 그 짓거리만 하여 음양곽이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하니 그효능을 알 수 있으리라. . 그런데 설악산의 음양곽과 그 전에 오대산에서 보았던 음양곽과는 생김새가 많이 차이가 난다. 오대산에서 보았던 것은 말 그대로 잎이 세개씩 있는 줄기가 세개씩 뭉쳐 삼지 구엽을 형성하고 있었는데 설악산의 것은 그런 모양이 없었다. 이 삼지구엽초는 지금..
-
신선초야생화/야생화 2007. 12. 14. 14:33
신선초 [神仙草]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Angelica keiskei 분류 미나리과 원산지 아열대지방 크기 높이 약 1m 명일엽(明日葉)·신립초라고도 한다. 높이 약 1m이다. 뿌리줄기와 뿌리가 굵다. 줄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에 달린 잎은 줄기 밑동에서 모여 나며 잎자루가 굵다. 1∼2회 3장의 작은잎이 나온 깃꼴겹잎이며, 작은잎은 달걀 모양이거나 부정형인데 둘 또는 셋으로 갈라진다. 잎은 두껍고 연하며 짙은 녹색으로 윤기가 난다. 맨 위의 잎은 퇴화하여 부푼 잎집만 남아 있다. 줄기나 잎을 자르면 연한 노란색의 즙이 나온다. 꽃은 8∼10월에 연한 노란색으로 피며, 꽃줄기 끝에 복산형꽃차례[複傘形花序]로 작은 꽃이 달린다. 열매는 타원형으로서 길이 6∼8mm이..
-
당귀야생화/야생화 2007. 12. 14. 13:57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 분류 : 미나리과 분포지역 : 한국, 일본 크기 : 높이 80∼90cm 굵은 뿌리에서 원줄기가 나오고 높이 80∼90cm이며 잎자루와 더불어 검은 자줏빛이 돌고 털이 없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잎집이 있으며 1∼2회 세 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다. 갈래조각은 바소 모양으로 다시 3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짙은 녹색이다. 꽃은 8∼9월에 피고 흰색이며 복산형꽃차례를 이룬다. 소산경(小傘梗)은 30∼40개이며 작은 총포는 실처럼 가늘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편평하고 긴 타원형으로 뒷면에 가는 능선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유관(油管)은 능선 사이에 3∼4개, 합생면에 4개가 있다. 일본에서는 이것을 ..
-
곰취씨앗야생화/야생화 2007. 12. 14. 13:54
초롱꽃목 국화과의 쌍떡잎식물.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1∼2m. 뿌리줄기는 굵고 아랫부분에 거미줄 같은 흰 잔털이 있으며 윗부분에는 짧은 털이 있다. 뿌리 위에 나는 잎에는 긴 잎자루가 있고, 잎몸은 심장모양이며 가장자리에 고른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엷은 녹색이다. 줄기에는 3개의 잎이 있고, 맨 아래 잎은 작고 잎자루 밑둥으로 줄기를 싼다. 맨 위의 잎은 훨씬 작고 잎자루는 짧으며 밑이 넓어 잎집처럼 된다. 총상꽃차례로 밑에서부터 차례로 피고 가지를 치기도 한다. 관모는 갈색 또는 갈자색이고, 열매는 수과(瘦果)로 길이 7∼11㎜의 원기둥 모양이고 세로줄이 있다. 7∼9월에 꽃이 피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어린 잎은 나물로 먹는다. 한국·일본·중국·사할린 등지에 분포한다. 취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