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위장질환
-
설사건강/위장질환 2025. 3. 5. 10:16
설사는 대변이 함유하는 수분량과 절대적인 대변의 양 , 그리고 배변횟수의 증가로 알 수 있는데 1 일 총 대변량이 250 g 이상이면서 85 ~ 90% 이상의 수분을 함유하거나 하루 4 번이상 배변하는 것을 비정상으로 간주한다. 정상 대변 속의 수분 비율은 약 70 % 정도이고, 정상적인 배변 횟수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지만 하루3 번을 넘기지 말아야 한다. 소장으로부터 얻어진 내용물이 대장을 통과하면서 수분이나 전해질의 흡수가 일어나고, 그 과정에서 처음에는 액상이었던 내용물이 반유동상, 죽상을 거쳐 직장에 도달할 즈음 고형상이 되어 배설된다. 이때 소장에서 대장으로의 수분 유입이 증가하거나 대장내에서 수분 및 전해질 흡수가 불량해지거나 장관 운동이 항진되면 대변이 과잉 수분을 머금은 상태로 단시간에 ..
-
멀미, 오심, 구토건강/위장질환 2025. 2. 27. 10:36
멀미란 전신의 흔들림이나 가속 등의 복잡한 움직임을 겪을 때 자율신경이 혼란해져서 두통, 어지러움, 오심, 권태감,식은 땀, 타액 분비과다 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자율신경계 혼란으로 구토 중추가 자극되면 오심, 구토가 일어난다. 오심은 구토를 해야 할 것 같은 주관적인 느낌을 말하며 , 구토는 위 내용물이 식도로 올라가 입으로 격렬하게 분출하는 것을 말한다. 오심, 구토의 치료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을 예방해야하고 필요할 경우 항구토제를 사용할 수 있다. 임상증상구토 중추는 연수의 그물형성체의 등쪽 외측 경계에 위치하며 이 부분이 자극되면 구토가 일어난다. 구토중추는 화학수용체유발대[chemorecepter trigger zone CTZ], 전정기관, 대외피질,..
-
복부팽만감건강/위장질환 2025. 2. 26. 11:10
장내 가스의 대부분은 N2, O2, H2, CO2, CH4 로 구성되어 있고, 장은 매일 7 ~ 10 L 의 가스를 처리한다. 이 중 대부분이 혈액으로 재흡수되고 약 600 ml 정도의 가스만 배출되는데 가스가 600 ml 를 초과하면 배출되지 않고 장내에 남아 복부팽만을 유발한다. 장내에 찬 가스는 트림이나 방귀로 분출된다. 방귀의 냄새는 H2S및 황을 함유한 휘발성 기체에 의해 생기는데 황을 함유한 음식을 섭취시 더 악화 될 수 있다. 장내에 찬 과도한 가스는 극심한 복통을 야기할 수 있고, 다른 위장관의 신호일 수도 있다. 원인과 임상증상장내 가스는 음식, 기저질환, 약물, 장내 세균총의 변화 등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사람은 보통 정상적으로 하루 500 ~ 600 ml 의 장..
-
소화불량건강/위장질환 2025. 2. 19. 10:31
소화불량은 상복부에 국한된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인 불쾌감을 의미한다. 스트레스 증가로 인해 현대인들의 소화불량 발병률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불규칙한 식습관이나 과식, 급하게 식사를 하거나 흡연, 과도한 커피, 알코올, 변비 등의 원인에 의해 쉽게 유발될 수 있다. 증세의 표현 방법은 "속이 더부룩하다 " 가슴이 답답하다 " " 명치가 아프다 "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한다. 소화불량은 소화성 궤양이나 위암 등으로 인한 기질성 소화불량과 내시경 검사나 초음파 검사상 특별한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구분되는데 일반적으로 소화불량하면 기능성 소화불량을 말한다. 소화불량의 원인소화불량의 주증상은 상복부 포만감, 팽만감, 오심, 구역, 트림, 구토 등이며 이러한 증상들은 서로 동반되어..
-
속쓰림건강/위장질환 2018. 11. 14. 18:26
속 쓰림 [heartburn]은 위장관 부위의 타는 듯한 통증을 말한다. 심한 경우 흉부 작열감이 목, 턱까지 번지기도 한다. 속쓰림은 주로 위산과다나 위산의 식도 역류에 의해 발생한다. 하부 식도 괄약근은 식도와 위 사이에 있는 근육으로 음식물이 위로 통과한 후 식도를 닫는 역할을 하는데 만약 이 근육이 약해지거나 적절히 닫히지 않으면 위로부터 위산이 역류하여 점막을 자극해 흉부 작열감을 유발하게 된다. 속 쓰림은 주로 식후 또는 취침시에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증상이 반복되거나 지속된다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속 쓰림의 원인 및 임상증상속쓰림은 일반적으로 위산이 점막을 자극해서 생기는 증상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속 쓰림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할 때 생기는데 과식을 하거나 맵고, 지방을 많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