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변비
-
변비란 ?건강/변비 2025. 3. 7. 15:39
변비란 대변이 대장에 오래 머물고 정상적으로 배변되지 않는 증상을 말한다 하지만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변비를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렵고 , 일반적으로 배변의 횟수가 주 3 회 미만인지 여부와 함께 잔변감이 있는지 여부, 배변횟수나 변량이 감소했는지 여부, 변이 딱딱해진 정도 [정상적인 변은 70 ~ 80 % 의 수분 함유 ]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대부분 변비환자들은 변비를 자기 주관대로 판단하고 치료하기 때문에 약을 남용하거나 적절한 치료 방법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변비를 가벼운 만성 질환으로 여겨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신진대사의 불균형으로 요통, 치열, 장폐색 등의 이차적인 질병을 유발할 수 있고 또 만성변비의 원인이 실제로는 대장의 염증성 질환 등에 의해 장이 막혀 배변 활동이..
-
변비약보다 선행되어야 하는 식이요법건강/변비 2024. 10. 15. 19:08
* 변비의 정의 [로마기준 2016] 다음 증상이 6개월 전에 시작했고 지난 3 개월동안 나타냈을 때로 정의한다. 1. 다음 중 2 개 이상 만족 1] 배변 시 과도한 힘주기가 4 회중 최소한 1 회 2] 딱딱한 변이 4 회중 최소한 1 회 3] 배변 후 불완전 배변감이 4 회중 최소한 1 회 4] 배변시 항문폐쇄감이 4 회중 최소한 1 회 5] 손가락을 이용하거나 아랫배를 누르는 등 배변을 돕기 위한 부가 처치가 필요한 경우가 4 회중 최소한 1 회 6] 1 주일 3 회 미만의 배변 2. 하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무른 변을 보기 힘듦 * 변비의 병태생리 1. 소장에서 소화되고 남은 유미즙 형태의..
-
변비약건강/변비 2024. 10. 15. 17:34
1. 팽창성하제 장내 수분을 스스로 흡수하여 변의 부피를 크게 하고 변과 함께 연화성 젤을 형성하여 연동운동을 촉진함으로써 배변 횟수를 증가시키는 약물이다. 셍리현상과 가장 유사하게 배변을 촉진하고 전신으로 흡수되지 않으면서 영양소의 흡수를 방해하지 않아 이상반응이 거의 없으므로 대부분의 변비 환자에게 1 차 선택약으 로 선택한다. 단 이 약물은 작용시에 장내 수분을 흡수하면서 약효를 나타내어 약물을 복용할 때 반드시 충분 한 양의 수분을 섭취해야 효과가 있으므로 충분한 수분를 제한해야 되는 환자[간경화, 심부전, 신부전, 부신기능저하증 환자 등] 나 음식을 삼키기에 어려움이 있는 환자[ 연하곤란환자, 식도협착환자 등] 에게는 사용할 수 없고 권장 용량을 초과하여 복용하거나 적절한 수분 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