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때로는 성사의 의미도 모르고 필요에 따라 또는 기계적으로 성사를 받는 사람이 있는데 이렇게 성사 받아도 괜찮은가요 ? [원주교구 주보 2482호]글/생활 속의 신앙 2025. 3. 11. 09:48
성사는 그것을 주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의 의로움이 아닌 하느님의 능력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렇지만 성사
가 맺는 결실은 그것을 받는 사람의 마음가짐에도 달려 있으므로 합당한 마음가짐을 준비한 만큼 더 참된
결실을 얻게됩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128, 131 항]그리스도께서는 친히 성사를 세우시고 그 성사 안에서 일하고 계십니다. 따라서 신앙안에서 정당하게 거행된
성사는 언제나 유효한 것이며 , 성사의 은총은 틀림없이 주어집니다 [가콜릭교회교리서 127항]
그러므로 성사는 성사를 집전하는 사람이나 성사를 받는 사람의 개인적인 신앙의 깊이나 도덕적 삶의 여부에
상관없이 그 자체로서 유효합니다. 따라서 성사에 참여하는 사제와 신자들의 마음가짐에 미흡한 점이 있더라
도 , 모든 성사는 예수 그리스도의 성사이기에 그 자체로 구원의 은총을 우리에게 줍니다.
또한 여기에는 " 신앙 안에서 " 라는 전제가 있습니다. 다시 말해 성사는 " 신앙 안에서 " 이해하고 받아들일때
만 그 효력을 발휘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회는 그 성사를 받는 사람의 태도 또한 강조합니다. 특히 합당한
마음가짐으로 성사를 준비한 사람은 참된 결실을 얻게 됩니다. [가톨리교회교리서 1131 항] 이를 성사의 인효
성이라고 합니다.그러므로 우리는 올바른 마음가짐으로 거룩한 전례에 참석하여 , 주임의 은총을 헛되이 받지 않도록 합당한 신
앙의 자세로 성사에 참여해야겠습니다.'글 > 생활 속의 신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사와 개인이 드리는 기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성사 생활에 개인기도가 꼭 필요하나요 ? (0) 2025.04.01 천사들에 대한 궁금증 (0) 2025.03.10 불운의 희생자 빌라도 (0) 2025.03.08 " 성사를 보다 " " 성사에 참례하다 " " 성사를 받다 " 등 여러 표현하는데 어느 말이 맞나요 ? [원주교구주보 2481호] (0) 2025.03.03 교회에서 성사는 몇가지가 있나요?[원주교구 주보 2480호] (0)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