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사와 개인이 드리는 기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성사 생활에 개인기도가 꼭 필요하나요 ?글/생활 속의 신앙 2025. 4. 1. 16:36
기도는 뗄 수 없는 두 가지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인적인 요소와 공동체적인 요소입니다. [가톨릭 교
회교리서 2596 항] 이 가운데서 성사는 공적 예배에 속하는 공동체의 측면이 강조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
니다.성사는 그리스도의 신비체로서 그 머리와 결합되어 있는 공동체 전체가 거행합니다, 전례 행위는 사적 행
위가 아니라 " 일치의 성사 " 인 교회 곧 주교 아래 질서 있게 모인 거룩한 백성인 교회 에식의 거행입니다
[가톨릭교회교리서 1140 항]
한편으로 하느님께서는 각 사람들을 당신과 신비로운 만남으로도 끊임없이 부르십니다. [가톨리교회교리
서 2591항]이런 면에서 그리스도인의 기도는 개인적인 성격을 띠기도 합니다. 성사와 개인의 기도와의 가장 큰 차이는
그 공동체성에 있습니다. 성사는 공동체 전체가 드리는 공적 예식의 거행을 통한 기도입니다. 물론 개인의
기도는 개인적 차원에서 드리는 기도입니다. 교회의 가르침은 성사와 개인 기도의 관계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 영성생활은 오로지 거룩한 전례의 참여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실제로 그리스도인은 공동으
로 기도하도록 부름을 받았지만 그럼에도 또한 자기 골방에 들어가 보이지 않는 하느님 아버지께 기도해야
하며 더욱이 사도의 가르침에 따라 끊임없이 기도해야 한다 [ 전례헌장 12 항]
이렇게 교회는 성사 생활과 함께 이루어지는 개인 기도에 대해서도 강조하고 있습니다. 개인 기도의 원천은
바로 하느님 말씀, 교회의 전례, 믿음과 희망과 사랑의 덕과 성사입니다. [가톨리교회교리서 2662 항] 개인
기도는 그가 비치는 기도를 통하여 전례가 거행되는 동안과 그 후에 그 전례를 내면화하고 그 전레에 동화될
수 있게 해 줍니다 [가톨리굑회교리서 2655 항] 그 뿐만 아니라 개인기도는 전례 생활을 통해서 다듬어지고
우리 아버지이신 하느님으로부터 모든 것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가톨리교회교리서 2658항]우리의 신앙생활은 성사와 개인의 기도가 조화롭게 서로를 나누어 주는 가운데 하느님께 더 나아갈 수 있습
니다.'글 > 생활 속의 신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회안에만 성사가 있나요 ?. 교회 밖에는 성사가 없나요 ?[원주교구 주보 2586호] (0) 2025.04.07 때로는 성사의 의미도 모르고 필요에 따라 또는 기계적으로 성사를 받는 사람이 있는데 이렇게 성사 받아도 괜찮은가요 ? [원주교구 주보 2482호] (0) 2025.03.11 천사들에 대한 궁금증 (0) 2025.03.10 불운의 희생자 빌라도 (0) 2025.03.08 " 성사를 보다 " " 성사에 참례하다 " " 성사를 받다 " 등 여러 표현하는데 어느 말이 맞나요 ? [원주교구주보 2481호] (0) 2025.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