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이탈리아 [성베드로광장] :: 제천 감초당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이탈리아 [성베드로광장]
    이 세상 구석구석/이탈리아 2015. 6. 5. 11:58

     

     

    베드로 광장은 좌우 폭이 240m로 30만의 군중을 수용할 수 있다. 

     

    정면으로 대성당의 입구가 있고, 그 좌우로 반원형의 회랑에 4열의 그리스의 건축양식인 도리아식 원주 284개가 서 있다.

    각주가 총 88주로서 4열종대를 이루어 회랑 위의 테라스를 떠받치고 있다.

     

    그 윗 부분에는 140명의 성인상이 장식되어 있고, 광장 중앙에는 서기 40년 칼라굴라 로마 황제가 이집트에서 운반한 높이 25.5m, 무게 320톤의 오벨리스크가 서 있다.

     

    오벨리스크 양쪽에는 분수 2개 가 있고 이 두 분수 사이에 대리석 바닥이 있는데 여기 서서 열 회랑을 쳐다보면 기둥들이 4주식 포개져 보인다.

     

    이곳은 성 베드로가 순교한 곳으로 제 237대 교황 알렉산더 7세의 명에 의거 르네상스 건축가 베르니니가 완공한 곳이다.

     

    광장에서 성당 입구 쪽으로 향하여 보면 왼쪽에는 바티칸의 우체국과 관광안내소가 있고, 오른쪽에는 교황 거소등 일련의 바티칸 궁전이 보인다.

     

    일요일이면 교황이 베드로 대성당 정면의 발코니에서 광장에 모인 군중에게 인사를 한다

     

     

     

    성 베드로 광장의 설계자는 베르니니이며 베르니니는 성 베드로 대성전을 설계하면서, 카톨릭교회가 그곳을 찾아오는 모든 사람을 포용하고 있다는 뜻을 전하고자 했다.

     

    그는 미켈란젤로가 설계한 성 베드로 대성전의 돔을 머리로 두고, 반원형의 회랑 두 개를 팔로 묘사함으로써 성 베드로 대성전이 두 팔을 벌려 사람들을 모아 들이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성 베드로 광장 양편에 각각 네 줄로 늘어선 토스카나식 기둥 284개와 벽에서 돌출된 기둥 88개로 이루어진 베르니니의 회랑은 1656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1667년에 완공되었다.

     

    16m 높이의 원기둥꼴 대리석 기둥 위에 있는 140개의 성인상은 베르니니의 제자들이 조각한 것이다.[

     

     

     하늘에서 사진을 찍어야 팔을 벌리고 있는 모습이 잡힐텐데 평지에서는 아무리해도 그 모습이 잡히지를 않는다.

     

     

     

     

     

     

     

     

     

     

     

     

     

     

     

     

     

     오벨리스크

    타원의 중앙에는 붉은 회강암으로 이루어진 이집트 오벨리스크가 세워져 있다.

     

    이 오벨리스크는 25.5m 높이의 청동 사자들로 지탱하고 맨 위에 있는 십자에서 41m 떨어진 키지 가문의 청동 문장 위에 올려져 있다.

     

    기원전 13세기에 세워진 이 오벨리스크는 네로경기장의 중앙 스피나로 기원후 37년 황제 칼리굴라가 옮겨서 세웠다.

     

    네로 경기장은 현재 대성전의 왼쪽에 남아 있다.

     

     

     

    이 오벨리스크는 1586년 교황 식스토 5세의 지시로 기술자 겸 건축가인 도메니코 폰타나가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이 탑을 옮기는 작업에는 수백 필의 말과 수천 명의 근로자가 동원되었고, 굵은 나무와 밧줄, 안전목 등이 사용되었다.

     

    무게가 320톤이나 되는 이 거대한 돌덩이를 세우는 것은 무척이나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작업이었기에, 그 광경을 지켜보는 사람들은 어떤 소리도 내서는 안 된다는 엄명이 떨어졌다.

     

    한 마디라도 소리를 낼 경우엔 바로 큰 벌을 내리겠다는 엄명이 떨어졌다.

     

    그러나 작업을 시작하자 밧줄과 밧줄이 마찰을 일으키면서 불이 붙었다.

     

    그대로 작업을 계속하면 밧줄도 끊어지고 탑도 넘어질 것이 뻔했다.

     

    그러나 모두가 아무 말도 못하고 그 광경을 바라보고만 있었다.

     

    소리를 내면 그 자리에서 벌을 내리겠다는 엄명 때문이었다.

     

    그때 한 사람이 “밧줄에 물을 부으시오!”라고 외쳤다.

     

    선원이었던 그 남자는 사태의 심각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해결 방법도 알고 있었다.

     

    그의 말에 따라 즉시 밧줄에 물이 부어졌고, 근로자들은 아무 사고 없이 그 일을 마칠 수 있었다.

     

    자신의 목숨을 내어 놓고 고함을 지른 용감한 선원은 처벌받은 대신 교황으로부터 성지주일에  성 베드로 대성전에 종려나뭇잎(성지가지)을 공급할 수 있는 권한을 상으로 받았다.

     

    그의 후손들은 오늘날까지도 그 특권을 누리고 있다.

     

    바티칸의 오벨리스크는 로마에서 유일하게 한 번도 쓰러진 적이 없는 오벨리스크이기도 하다.

     

    중세 때에는 사람들 사이에서 오벨리스크 꼭대기에 있는 금으로 된 공 안에율리우스 시저의  유골이 포함되어 있다는 이야기가 떠돌았다.

     

     나중에 폰타나는 오벨리스크 꼭대기에 있었고 먼지만 발견된 고대의 금속 공을 제거했다(현재는 로마 미술관에서 보관 중).

     

    베르니니는 오벨리스크를 세우는 작업에는 참여하지 않았지만, 그는 이 구조물을  광장 한가운데에 두도록 하였다.

     

    오벨리스크의 꼭대기에는 십자가가 설치되었는데, 이는 이교도에 대한 기독교의 승리와 군림을 나타내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정오에 태양이 황도의각 표지에 들어갈 때 오벨리스크의 그림자 끝을 표시하고자 1817년에 둥근 돌들을 배치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오벨리스크는 거대한 해시계의 바늘 역할을 하게 되었다[위키백과]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