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월경전 증후군 :: 제천 감초당

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월경전 증후군
    건강/여성질환 2025. 3. 13. 11:21

    월경전 증후군이란 월경주기에 따라 지속적이고 예견할 수 있는 여러 신체적, 감정적, 행동적 이상 증상이 주기적으로 나타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증상을 통칭한다.
    대부분 여성들은 월경 시작 직전에 식욕증가, 복부팽만, 유방압통, 요통 등의 경미한 신체 변화와 신경과민, 불안, 기분저하, 에너지 증가 등의 간접적인 변화를 겪는다. 이는 배란 주기에 따른 정상적인 변화이다. 
    월경전 증후군은 월경 시작 5 일전부터 한가지 이상의 감정적 신체적 증상으로 시작되고 월경이 시작되면 사라진다. 
    월경전 증후군은 월경을 하는 여성의 70 ~ 85 % 가 경험한다고 한다. 
    우울증, 불안증, 공황장애 등의 정신적 질환의 증상이 월경전에 악화되기도하고 , 자궁내막증, 감상선기능저하증, 집중력 결핍장애, 당뇨병, 편두통, 폐경전 증후군 등의 질환도 월경전에 악화되기도 한다. 

    월경전 증후군의 원인 및 임상증상 
    월경은 시상하부 - 외하수체 _ 난소 축에 의한 호르몬의 유기적이고 주기적인 변화에 의해 나타난다.  시상하부에서 성선자극분비호르몬이 분비되고 , 이 성선자극호르몬은 뇌하수체에서 난포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자극한다, 난포자극호르몬은 여성의 난소를 자극하여 에스트로겐을 분비한다. 에스트로겐이 자극되면 negative feedback  작용으로 뇌에서 황체형성호르몬이 분비되어 배란이 이루어지게 된다. 배란된 ㅡ난자가 수정되지 않으면 황체는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한 뒤 퇴화하게 된다. 이러한 호르몬의 변화에 의해 자궁 내벽의 증식과 탈락을 반복하고 정상적인 월경을 하게된다. 월경시작일부터 배란전까지를 난포기라하고 배란 이후를 황체기라 한다. 월경전 증후군은 황체기 중 월경 시작 2 ~ 7 일전에 피로감, 우울증, 두통, 유방통 등 다양한 신체적 , 감정적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월경 2 일전에 가장 심해지며 월경 시작 직후나 1 ~ 3 일 후 증상이 없어진다. 주기적으로 발생하나 보통 월경 주기가 4 ~ 12 일 사이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월경전 증후군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 사회적, 심리적, 생화학적 요인이 복합되어 나타난다. 
    생화학적 원인으로는 생리주기에 따른 에스트로겐의 과다분비와 프로게스테론의 결핍, 프로락틴의 증가 같은 호르몬 변화가 세로토닌, GABA, 베타엔도르핀 등의 신경전달물질과 비타민과 미네랄에 영향을 미쳐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르몬의 변화에 의해 세로토닌의 농도가 감소하면 자제력 부족, 신경과민, 불쾌감 등이 발생한다. 프로게스테론의 대사체는 GABA 수용체와 결합하여 불안감을 해소하는 역할을 하는데 , 황체기 동안은 GABA 수용체의 감수성이 변화되어 불안과 신경과민이 발생한다. 베타엔도르핀의 수치가 낮아지면 식욕증가, 피로와 우울증, 초조와 긴장, 변비나 복부팽만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프로락틴 혈중농도가 높아지면 유방압통, 복부팽만, 관절통, 근육통과 수분 저류가 일어난다. 또 술이나 커피의 과다 복용은 월경증후군의 한 용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아그누스카스투스 열매 추출물 [프리페민]
    아그누스카스투스 열매 추출물은 순비기나무의 열매에서 추출한 것으로 유럽에서 오래전부터 월경전 증후군에 사용되어 온 약이다. 시상하부의 도파민 2 수용체에 작용하여 뇌하수체에서 프로락틴의 과다 분비를 조절하고 호르몬의 균형을 유지하여 월경전 증후군의 다양한 증상을 개선한다. 짜증, 우울, 긴장 , 집중력 저하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유방 긴장감과 통증 개선에 효과적이다.

    이뇨제
    파마브롬은 이뇨제 성분으로 월경전 증후군에 나타나는 체액정체, 체중 증가, 복부팽만, 부종, 포만감 등의 완화를 목적으로 한다. 파마브롬은 월경 5 ~ 6 일전부터 먹어야 최상의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이 약을 복용하는 동안 물을 자주 마셔야 한다. 파마브롬 복용 중 황금색 소변이 나올 수 있는데 일시적이므로 걱정할 필요는 없다. 

    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나프록센을 많이 사용한다. 

    비타민과 무기질
    비타민 B 
    간의 에스트로겐 대사를 촉진시켜 월경 전 에스트로겐 수치를 떨어뜨려 월경전 증후군을 완화시킨다. 특히 비타민 B6 는 세포막에서 마그네슘의 이동과 이용을 증가시켜 에스트로겐 대사를 증가시키고, 도파민과 세로토닌의 조효소로 작용하여 월경전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우울,짜증, 피로감, 부종, 통증을 경감시킨다. 
    비타민 B6 가 결핍되면 정서적 불안을 초래한다. 고용량의 피리독신은 신경병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하루 100 mg 이상은 복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비타민 E
    항산화제로서 월경전 증후군의 감정적, 신체적 증상을 감소시킨다. 

    칼슘
    신경과 근육기능 유지에 필요한 무기질로 월경전 증후군 증상 중 불쾌한 기분, 수분 축적, 식욕 증가에 효과가 있다. 황체기 동안에 칼슘과 비타민 D 대사가 변화되어 칼슘과 비타민 D 가  부족하면 월경전 증후군 증상이 유발 될 수 있다.

    마그네슘
    체내 신경전달물질이 원활하게 전달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월경전 증후군을 호소하는 여성의 경우 칼슘과 마그네슘의 수치가 현저히 낮다. 마그네슘 결핍은 프로스타글란딘의 양을 감소시켜 월경전 증후군 증상을 유발하는데 마그네슘을 월경증후군 중 하나인 신경과민 증상을 줄일 수 있다. 마그네슘 과량 복용은 설사를 유발한다. 

    아연 
    비타민 B6  와 같이 여성의 심리적 상태와 관련된 호르몬, 신경전달물질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데 월경전 증후군 시 나타나는 여드름과 관련이 있다. 

    생약제제

    달맞이꽃 종자유
    월경전 증후군과 관련된 유방 통증을 완화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달맞이꽃 종자유의 주 활성 성분은 감마 리놀레인산인데 여성호르몬과 프로락틴에 대한 인체의 반응을 감소시킨다. 유방압통, 복부팽만감, 부종 등을 감소시켜 준다. 
    월경 1 주일 전에 복용한다. 

    성요한풀
    서양고추나물 추출물로서 경도 ~ 중등도의 월경증후군으로 인한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킨다. 가볍고 일시적인 우울증 완화에 사용한다. 

    사후랑
    월경전 증후군과 우울증에 효과적이다.

    은행잎엑스
    월경전증후군으로 인한 불안, 신경과민, 우울증, 유방압통을 개선한다. 

    '건강 > 여성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염  (0) 2025.03.18
    월경이상  (0) 2025.03.14
    생리 늦추는 약  (0) 2018.07.06
    트리코모나스 증과 칸디다 증의 감별진단  (0) 2013.09.04
    피임약  (0) 2011.09.3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