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불임증 :: 제천 감초당

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불임증
    건강/여성질환 2008. 3. 19. 13:14
     

    .불 임 증


    임신은 배란, 수정, 착상의 과정을 거치면서 임신이 된다.

    불임은 배란이  되지 않거나 수정이 되지 않거나 착상이 안될 때 일어난다.

    불임이란 건강한 성인 남녀가 정상적인 결혼 생활을 했을 때 1년이내에 임신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는 통계상 10-15%에 해당되며 이 중 여성이 원인인 것이 절반 정도 된다.

    진단 및 치료를 집중적으로 하면 불임부부중 절반 정도는 임신을 하게 된다.

    임신이 성립되려면 양쪽이 모두 건강한 생식기계를 가져야 한다.

    남자는 충분한 수의 건강한 정자를 생산해야 하고, 여자는 건강한 난자가 나팔관을 자유롭게 지나 자궁내로 들어가야 한다.

    또 자궁 내막은 수정된 수정란이 착상할 수 있어야만 한다.

    성선자극호르몬 즉 여포 자극 호르몬과 황체화호르몬이 필요한데 이것이 육체적 질환 혹은 정신적인 스트레스에 의해 방해 될 수 있다.




        *.여성 생식기계

    여자 아이가 태어나기도 전에 무려 700만개나 되는 난자세포를 가지고 있다.

    그것이 아이가 태어 날 무렵이 되면 100만 ~ 200 만개로 줄어 들고 사춘기가 되면 40만개로 되며,  폐경기가 되면 사실상 모든 난자세포가 죽어 버린다.

    매월 반복되는 여성 생식기계의 일련의 변화를 월경 주기라 하는데 복잡한 호르몬의 상호작용으로 일어난다.

    여성의 내부 생식 기관은 난소, 난관, 자궁 및 질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난소에는 수십만 개의 난포가 있는데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매 주기마다 한 개씩의 난포가 성장하여 난소의 표면에 도달하고 거기에서 파열되어 1개의 난자를 방출한다.

    이러한 난자의 배출을 배란이라고 한다.

    약 28일 주기의 중간에서 일어난다.

    난자를 방출한 후 비어 있는 난포는 커져서 황색을  띄는 황체가 된다.

    각 주기의 호르몬 변화를 살펴보면 처음에는 뇌의 시상하부에서 난포자극 유리 호르몬이 생성되며 이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뇌하수체에서 난포자극 호르몬이 분비되어 혈류를 따라 난소에 이르게 된다.

    난소 자극 호르몬은 난소에서 에스트로겐이라는 여성 호르몬을 분비시키며 난포의 성장과 발육을 촉진하여 난자가 방출되도록 한다.

    또 난자 방출후 생성되는 황체에서는 프로게스테론 이라는 황체호르몬이 분비된다.

    월경 주기는 증식기와 분비기로 나누는 것이 편리한데 정상적인 월경 주기는 21~40일 정도이다.

    에스트로겐의 분비는 주기 시작과 함께 서서히 증대되어 주기 상의 14일경에 나타나는 배란 직전에 최고치를 나타내고 그후 서서히 감소한다.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자궁내막은 두터워지고 혈관 수와 분비선이 증가하는 증식기가 된다.

    배란 후에는 프로게스테론의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여 배란 후 수일 내에 최고 혈중농도에 이르며 에스트로겐과는 달리 1~14일 사이에는 혈중에 소량만이 존재한다.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자궁 내막은 더욱 비후되고 성숙되는 분비기로 전환된다.

    시상하부에서는 혈액 중의 에스트로겐 농도가 높아지면 난포자극유리호르몬의 공급이 중단되고,  에스트로겐의 농도가 낮아지면 보상적으로 난포자극유리 호르몬 분비가 시작되어 전체 주기가 다시 시작되도록 한다.

    월경 주기는 대개 12~13세 경에 처음으로 시작되고 45~55세 경에 사라지게 되며 폐경과 함께 여성의 생식 능력은 없어진다.

    폐경 전후의 갱년기 몇년간은 체내 호르몬치가 불규칙해지고 감소되며 이 때문에 많은 여성에서 불유쾌한 증상들이 나타난다.

    그후 호르몬치가 일정하게 감소되어 갱년기 급성 증상은 사라지게 된다.

    그 대신 장기간에 걸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다.

    여성의 모든 생물학적인 현상은 난소 주기의 호르몬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월경이상이나 폐경기 질환을 관찰할 때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임신이란


    여성이 성장하여 사춘기에 이르면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의 영향으로 난소에 있는 수많은 난자 중 1개가 성장하여 난소의 표층막으로 옮겨가고 시간이 지나면서 난자도 성숙하여 성숙한 난포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난자는 과립막 세포 속에 싸여 있게 되며 난포액 속에 머물러 있던 난자가  성숙에 견디다 못해 난포 파열과 함께 난소에서 떨어져 나오게 되고  이때 그 안에 있던 난자도 정자를 받아들일 준비를 갖춤으로서 특수한 분열을 일으킨다.

    즉 어머니로부터 받은 유전자의 1/2을 버리고 성염색체도 XX에서X가 되고 난포호르몬의 작용으로 파열됨으로서 난자는 난소 밖으로 나와 난관 안으로  들어간다.


    남성에 있어서는 고환에서 만들어진 정자는 정낭선이나 전립선에서 특수한 체액과 혼합되어 정액이 되었다가 부부관계시 요도구에서 질내로 사정되게 된다.

    한번 사정으로 질내로 들어가게 되는 정액은 약 3~5cc이며 이 양에는 3-5억 마리의 정충이 포함되어 있다. 

    이 정자는 산성을 싫어하는 성질이 있어서 알칼리성인 자궁 쪽으로 1분간 에 3mm의 속도로 거슬러 올라가 난관에 도달하게 된다.

    하나의 난자와 결합하기 위해 헤엄쳐 온 정자 중 하나가 난자와 결합하면 난자의 주위는 막이 쳐져 다른 정자의 침입을 못하게 막으므로서 한개 이상의 수정란을 만들지 못하는 것이 원칙이다.

     

    남자가 사정하는 정액 중에는 약 5억개나 되는 정자가 있다.

    이들 정자는 여성의 질을 지나 자궁 속으로 열심히 거슬러 헤엄쳐 올라가는데 성교후 약 1시간이면 나팔관 상부에 도달한다.

    이곳에서 정자는 72시간 정도를 대기하고 있다가 난자가 나팔관으로  배출되어 나오지 않으면 모두 자궁이나 나팔관으로 흡수되어 버린다.

    성교 전에 이미 난소로부터 난자가 배출되어 나온 경우라면 난자는 12시간~24시간을 나팔 관 속에서 정자를 대기하고 있다가 정자가 들어오지 않으면 나팔관 속이나 자궁 속으로 흡수되어 버린다.

    만약 정자와 난자가 만나게 되는 경우 5억마리의 정자 중 2~3백마리의 정자만이 한 개의 난자 주위에 달라붙게 된다.

    난자에 달라붙은 정자는 모두가 자기 머리에 저장된 효소를 분비하여 난자 벽을 녹이기 시작한다.

    이때 난자 벽은 서서히 녹아 내리면서 가장 약하게 된 부분에 있는 정자가 맨 먼저 난자 벽을 뚫고 난자와 결합한다.

    이른바 수정이 된 것이다.

     

    정자 하나가 난자와 결합하는 순간 난자는 과립을 분비하여 난자막을 단단하게 해 버리기 때문에 나머지 정자들은 도저히 난자를 뚫고 들어 갈 수 없게 된다.

    이처럼 난자 한개와 정자 한개가 어렵게 결합하는 것을 수정이라 하며 수정한 순간부터 13시간이 지나면 한개의 수정란이 두개로 분화된다.

    수정된 세포 하나가 두개가 되고 두개가 네개로 되며 네개가 여덟개로 ....

    계속 분화하면서 3일이 지나면 나팔관을 내려와 자궁에 도달한다. 

    자궁에 도달한 세포들은 3일간을 자궁 속에 둥둥 떠 있다가 드디어 수정후 1주일만에 자궁벽 속으로 침투에 들어간다.

    이를 착상이라 한다.

    진짜 임신이 된 것이다.

     

    수정한 순간부터 8주까지를 胎芽라 부르며 영어로 Embryo라 한다.

    8주부터는 胎兒라 하며 영어로 Fetus라 한다.

    胎芽든 胎兒든 여성의 자궁 속에서 9개월을 지내려면 자궁이 튼튼해야 하는데 수정후부터 태반 호르몬이 분비되기 전까지는 여성의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FSH, LH]이 이를 담당한다.

    수정후 10일이 지나면서 태아를 둘러싸고 있는 태반에서 태반 호르몬이 분비되어 뇌하수체 호르몬과 똑같은 역할을 대신한다. 

    이 태반 호르몬을 HCG(human chorionic gonadoropin) 이라 한다.

    이 태반 호르몬은 임부가 배뇨할 때 소변으로도 빠져 나오기 때문에 소변 검사를 해서 HCG호르몬이 있으면 임신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난자의 염색체와 정자의 염색체가 결합되어 태어난 수정란은 성장하면서 일주일이 지나면 자궁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때 자궁은 수정란을 안전하게 맞아 들이기 위해 자궁내 호르몬의 영향으로 수정란이 무사히 착상하도록 한다.

    이렇게 착상된 수정란은 모체로부터 영양, 수분, 산소를 공급받아 성장 분열을 거듭하면서 태아로 커 간다.

    착상된 부위는 점차 커지고 두꺼워져서 태반의 기초를 이루며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할 때 출혈이 있을 수도 있다.

    수정 이후 8주까지 배아기간을 지나 태아로 모체의 자궁 속에서 성장을 하게 된다.   



        (1)배란 불능


          1)뇌하수체 종양일 때

            유선 자극 호르몬이 나오면서 성선자극호르몬이 나오지 않는다.  출산후 젖을 먹이면 임신이 안되는 경우와 같다.

            젖을 짜 보아서 젖이 나오면 뇌하수체 종양인 경우가 있다.

            뇌하수체 종양은 수술도 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어 이때 팔로델을 사용한다.

            이때 효과가 없으면 한방약을 같이 사용한다.


          2) 기초 체온에 변동이 없을 때

            정상적인 경우라면 부인용 체온계로 볼 때 배란되기전 24。 밑으로 떨어졌다가 배란된 후 올라갔다가 생리가 나옴과 동시에 24。 밑으로 내려간다.

            그런데 기초 체온에 변화가 없으면 배란불능인 때가 많다. 이때 클로미펜을 투여한다.

            투여 방법은 월경 시작 5일만에 저녁에 1T 씩 5일간 투여한다.

             만약 체온이 안 올라가면 그 다음달에 2T 씩 5일간 투여한다. 

            그래도 체온이 안 올라가면 그 다음달에 3T 씩 5 일간 투여한다.

            그런데 너무 계속 먹으면 쌍둥이를 낳는다.



           *. 불임의여성인자


            1. 배란의 물리적인 현상과 성숙된 난자의 배출 여부

            2. 정자의 운송과 저장에 적당한 경관 점액의 존재 여부

            3. 난소의 내분비 기능에 따른 자궁 내막 착상 부위의 적당한 발달과 자궁의 정상적인 반응 여부

            4. 정자와 난자와 이동할 수 있는 난관이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가 여부

            5. 복강내 임신에 방해될 만 한 물리적 기계적인 문제점은 없는가  즉 골반내 유착 또는 염증 등


           *. 클로미펜  

     FSH분비가 항진되어 난포가 발육 성숙함으로서 Estradiol이 다량 분비되며 feed back작용에 의해 LH가 충격적으로 분비되어 배란에 이르게 된다.

    이렇게 해서 배란은 되는데 임신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溫經湯증이 많다.

    혈관 자체에 탄력이 없으면 혈액순환이 잘 안되어 혈류량이 적어진다. 

    手足煩熱, 手掌煩熱 현상이 나타나고 말초 부위에 동상이 잘 걸린다.

    하복부에 혈액순환이 안되어 영양이 자궁 부위에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임신이 안된다.

    즉 난자가 제대로 성숙하지 못해 배란이 되기 때문이다.

    이 약물은 때로 경부 점막의 비후를 가져와 정자의 통과를 방해하기도 한다.

    이 약물을 복용시 쌍둥이를 낳을 수 있다.

    배란불능일때 溫經湯, 桂枝茯笭丸, 當歸四逆加吳茱萸生姜湯, 當歸芍藥散, 桂枝加龍骨牡蠣湯, 柴胡加龍骨牡蠣湯 등이 많다.




         약물의 작용

    배란과 착상은 호르몬에 의해서 지배되는데 FSH는 난자 여포의 성숙을 자극시키고 LH는 배란시키는 방아쇠 역할을 하며  프로게스테론이 자궁에 난자가 착상되도록  한다.

    FSH와 HCG: FSH의 부가는 월경 초기에 자연 호르몬의 작용을 강화시킨다.

    HCG는 월경 중기에 자연 LH 의 작용과 유사하다.

    클로미펜: 정상적으로  에스트로겐은  FSH 와 LH의 방출을 억제시킨다.

    FSH 와 LH 가 계속 생산되도록 에스트로겐의 작용에 반대하고 있다.

     


       (2) 수정불능

         배란도 되고 체온도 정상인데 난자와 정자가 만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즉 나팔관이 막힌 경우다. 나팔관이 완전히 막혔다면 수술해야 한다.

        

         1) 인공수정

           정자 수가 적을 때


         2) 시험관 임신

           두쪽 나팔관이 다 막혔을 때. 이때는 난자와 정자를 수정시킨 후 착상시킨다.


         3) 나팔관 인공수정(GIFT)

           한쪽은 멀쩡하고 한쪽이 막혔을 때 정자를 나팔관 팽대부에 넣는다.



        *. 자궁내막증식증

         Estrogen이 너무 많이 분비되어 모세혈관이 확장되고 자궁 내막이 너무 증식되어 착상 자체가 안되는 경우다.

         ㄱ. 남성호르몬 (다나졸) 을 투여한다. 2개월 이상 투여하면 남성화되는 수가 있다.

         ㄴ. 증식된것을 수술하는 수도 있는데, 이럴 때 유착이 되어 임신이 더욱더 안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ㄷ. 자궁내(나팔관, 난소) 등이 함께 증식되면 임신을 포기해야 한다.



       (3) 착상불능

         약국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고 성공률도 높다. 병원에서 아무 이상이 없다는 경우다.

           ㄱ. 자궁에 힘이 없거나

           ㄴ. 자궁내막이 증식되지 않거나

           ㄷ. Macrophage, T-임파구가 관련된 면역질환일때

           ㄹ. Estrogen이 제대로 분비 안될 때

           ㅁ. 자궁근육이 너무 떨릴 때


         6~7개월만에 유산되는 경우는 溫經湯, 當歸芍藥散이 많고,

         3개월 안에 유산되는 경우, 즉 자궁 내막이 울혈 되어 영양 공급이 안되어 착상되자마자 유산되는 경우는 桂枝茯笭丸, 溫經湯이 많다

         계류유산일때 즉 태아가 영양 공급이 안되어 굶어 죽는 경우는 溫經湯이 많다


        

         자궁근육 무력증

        

    자궁경관 무력증이란 태아가 자궁에서 자랄 때 밖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지탱해 주는 자궁입구의 괄약근이 무력해 양수가 터지면서 미성숙한 태아가 빠져 나오는 증상을 말한다.

          

      


    '건강 > 여성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후조리  (0) 2008.03.19
    유즙결핍증  (0) 2008.03.19
    아들 낳는 법  (0) 2008.03.19
    폐경기 준비는 30대부터  (0) 2007.12.04
    갱년기  (0) 2007.12.04

    댓글

Designed by Tistory.